소아과학은 임신부터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소아의 건강문제를 전인적으로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로서 모든 발육과정을 통하여 소아가 가진 신체,지능,정서 및 사회적 능력을 충분히 발전시키고,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아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라는 말은 예로부터 강조되어 왔지만,항상 성장과 발달들 계속하고 있는 소아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소아의 각 발육 단계에 따르는 특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에 각 전공 분과 별로 맡은바 교육,진료,연구에 힘쓰고 있다.
연도(년) | 활동 |
---|---|
1952 | 부산대성병원(Healing Center) 이현근 선생이 소아과학 교실의 책임을 맡음 |
1954 | 동대문 부속 병원 소아과학 교실 주임교수 겸 과장으로 주부생 교수가 임명 신촌 분원이 개원되어 초대 신촌 병원 소아과 과장으로 김효규 교수가 임명 |
1961 | 동대문 병원이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발전. 소아과학 교실은 주부생, 김효규, 진동식, 박종무 김철규 주임교수들을 필두로 전 교수들이 학생 교육과 환자 진료 및 수련의 양성에 큰 역할 |
1982 | 이근 교수 주임교수 취임 |
1988 | 이승주 교수 주임교수 취임 |
1992 | 김경희 교수 주임교수 취임 |
1993 | 목동병원 개원,교수진 확보 |
1996 | 홍영미 교수 주임교수 취임 |
1998 | 이승주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02 | 서정완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08 | 동대문 병원과 통합되면서 명실상부하게 소아과교실의 전문화, 특화를 추구함 김경효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2 | 유경하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5 | 손세정 교수 주임교수 취임 |
2018-현재 | 김혜순 교수 주임교수 취임 |
소아과학의 교육은 강의와 임상 실습으로 나뉜다. 분야별로는 소아심장학은손세정, 홍영미 교수, 소아영양소화기학은 서정완 교수, 감염병과 예방접종/면역결핍, 결체조직 질환은 김경효 교수, 성장발달, 신생아 질환과 유전 질환은 박은애 교수와 조수진 교수, 소아내분비 질환은 김혜순 교수, 소아혈액종양학은 유경하 교수와 유은선 교수, 소아신경학은 조안나 교수가 담당하고 있다.
소아과학 실습은 학생이 소아의 성장, 발달 및 영양상태를 정확히 평가하여 육아상담에 활용하고 필요한 예방접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또한 철저한 병력청취와 이학적 검사로 환자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여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습 제1주에는 신생아질환에 대한 실습을 진행하는데 신생아실과 중환아실, 모자동실에서 실습하며 제2주-4주에는 병동실습으로 심질환, 알레르기질환, 혈액종양질환, 신장질환, 수액과 전해질요법, 위장관질환, 영양장애, 내분비질환, 호흡기질환에 대한 진료능력을 습득한다. 또한 소아응급실에서 응급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진료능력을 습득한다.
대학원생 현황 : 석사 1명, 박사 1명 (23-1학기 기준)
성명 | 세부전공 | 연락처 | 이메일 | |
---|---|---|---|---|
서정완 | 소아소화기영양학 | 2650-5573 | jwseo@ewha.ac.kr | 상세보기 |
김경효 | 소아청소년감염학,면역학 | 2650-2857 | kaykim@ewha.ac.kr | 상세보기 |
유경하 | 소아혈액종양학 | 6986-1666 | ykh@ewha.ac.kr | 상세보기 |
박은애 | 신생아학 | 2650-5574 | pea8639@ewha.ac.kr | 상세보기 |
김혜순 | 소아내분비학 | 6986-1667 | hyesk@ewha.ac.kr | 상세보기 |
유은선 | 소아혈액종양학 | 6986-1668 | eunsyoo@ewha.ac.kr | 상세보기 |
조수진 | 신생아학 | 2650-2859 | sujin-cho@ewha.ac.kr | 상세보기 |
심소연 | 신생아학 | 6986-1744 |
simso@ewha.ac.kr |
상세보기 |
이정원 | 소아신장학 | 6986-1670 |
jwped@ewha.ac.kr |
상세보기 |